닫기 공유하기

日언론 "北, 중국 '자제' 요구에도 미사일 발사"

"리길성-왕이 회담 때 통보…전인대 개막일 피해"

[편집자주]

리길성 북한 외무성 부상(왼쪽)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중국 외교부) © News1

북한이 중국의 '자제'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난 6일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는 주장이 일본 언론들을 통해 제기됐다.

리길성 북한 외무성 부상이 미사일 발사 닷새 전인 이달 1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王毅) 외교부장과 만났을 당시 관련 대화가 오갔다는 것이다.

산케이신문은 7일 왕 부장이 리 부상 면담 당시 양국 간 "소통 강화"를 강조한 사실 등에 주목, "북한이 중국에 미사일 발사를 사전 통보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이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일(5일)을 피해 미사일을 발사한 데에도 "중국에 대한 배려" 의미가 담겨 있을 수 있다는 게 산케이의 설명이다.

산케이는 특히 이번 북한 미사일 발사에 관한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브리핑 내용이 지난달 12일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북극성 2형' 발사 때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는 점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사전에 알렸을 것'이란 견해에 무게를 싣는 한 배경으로 꼽았다.

실제 겅 대변인은 '북극형 2형' 발사 다음날인 지난 13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고, 6일 브리핑에서도 "중국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북한의 미사일 반대한다"는 종전 입장을 되풀이했다.

다만 산케이는 취재원을 밝히지 않은 채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북(對北) 정책을 보다 강경하게 만들고,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 자제를 요청했었다"며 "북한이 중국의 이 같은 의사를 무시하고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면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저하가 재차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도발 자제를 요구했던 중국의 시도가 실패해 체면을 구겼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이 같은 일본 언론들의 보도내용과 달리, 북한이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선 '중국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

그러나 산케이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사전 통보하지 않았다면 1일 (왕 부장과 리 부상의) 회담을 무시했다는 얘기가 된다"며 그 가능성을 낮게 봤다.

가뜩이나 김정남(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겸 조선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살해사건으로 양국 관계에 미묘한 긴장감이 형성됐던 상황에서 북한이 중국의 심기를 거스르는 행동은 하지 않았을 것이란 지적이다.

그간 중국 당국의 보호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진 김정남은 지난달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신경작용제 VX에 노출돼 살해됐으며, 국제사회에선 북한이 이번 사건의 배후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요미우리는 중국 정부가 최근 북한산 석탄 수입을 연말까지 중단키로 한 것과 관련, "중국이 앞으로 북한과의 무역을 더 엄격하게 통제할 것처럼 보이고 있지만, 김정은 정권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강한 제재엔 여전히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 겅 대변인은 6일 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비판하는 한편, 1일 시작된 한국·미국의 연례 합동군사훈련 '독수리연습'(FE)에 대한 북한의 비난을 염두에 둔 듯, "(각국이) 서로를 자극하고 긴장을 고조시켜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