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文대통령 '4强특사' 면면보니…전문성·네트워크 겸비 '중량급'

美 홍석현-中 이해찬-日 문희상-露 송영길
EU·獨 조윤제

[편집자주]

왼쪽 부터 미국 특사로 내정된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회장, 중국 특사 이해찬 전 국무총리, 일본 특사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 러시아 특사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 EU·독일 특사 조윤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 News1
왼쪽 부터 미국 특사로 내정된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회장, 중국 특사 이해찬 전 국무총리, 일본 특사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 러시아 특사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 EU·독일 특사 조윤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 News1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를 둘러싼 4강에 파견할 특사를 임명한 것으로 14일 알려지면서 관심이 모아진다.

정치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미국 특사로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 중국은 이해찬 전 국무총리, 일본에는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 러시아엔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각각 특사로 내정했다.

이와 함께 유럽연합과 독일에는 문 대통령의 후보 시절 싱크탱크였던 '정책공간 국민성장'을 이끈 조윤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를 선임했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특사 선정은 각국의 사정과 현안을 감안한 최적의 조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각국의 사정에 밝은 인사들로 특사가 내정돼 '문 대통령의 외교비전과 정책을 가장 잘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인사들'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홍 전 회장의 경우, 2005년 주미대사를 역임하는 등 미국 사정에 정통하고 미 조야에 다양하고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과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및 비용 부담 문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재협상 등 민감하고 녹록치 않은 현안들이 있는 만큼 경험과 경륜, 네트워크가 풍부한 홍 전 회장이 최적임이라는 평이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홍 전 회장은 과거 주미대사를 하셨고, 중도적인 이미지를 가진 분"이라며 "특히 언론사와 삼성 등의 배경이 있는 데다 미 정가에서 상당히 신뢰할 만한 위치에 있고, 국제적 인지도가 있는 분이기 때문에 설득할 게 많은 미국 특사로는 잘 선택한 게 아닌가 보인다"라고 말했다.

중국 특사로 내정한 이해찬 전 국무총리도 마찬가지다. 이 전 총리는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당선인의 중국특사로 파견된 경험을 갖추고 있는 데다 중국 관련 경험이 풍부하고, 특히 중국측 인사들과 두터운 친분을 쌓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문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는 등 이른바 여권의 실세라는 측면에서 사드 문제로 파국을 겪고 있는 한·중관계의 조속한 복원을 위해 중국 측을 상당히 배려한 인선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중국 측 입장에서 봤을 때는 이 전 총리가 기분 좋은 특사가 아니겠느냐"라고 밝혔다.

일본과 러시아 특사로 내정된 문 전 국회부의장과 송 의원 역시 해당 국가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인맥이 두터운 점이 고려됐다.

문 전 부의장은 2004~2008년까지 국회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맡는 등 한·일 우호 협력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일본 정계에도 폭넓은 인맥을 갖고 있다.

문 전 부의장은 특히 화통한 성격에 전략적인 마인드까지 겸비하고 있어 한·일 위안부 합의 등 민감한 문제를 풀어내야 하는 특사로는 가장 적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송 의원은 한·러 의원외교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정치권내 대표적인 러시아 전문가로 통한다. 인천시장 재임시 인천시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간 자매결연, 인천 상트페테르부르크 광장 조성 등 한·러 교류협력과 우의증진에 기여한 온 공로로 2013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러시아 평화우호훈장을 받은 바 있다.

아울러 유럽연합과 독일을 방문하게 될 조윤제 서강대 교수는 주영국대사를 역임한바 있는 유럽지역 전문가라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외교 철학과 유럽에 대한 비전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인사라는 관측이다.

특히 문 대통령이 이번 특사 파견에서 유럽연합과 독일에 별도의 특사를 파견하기로 한 것은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 우리 외교의 지평을 넓히고 다원화된 협력 외교를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