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부동산 PF 주력 P2P '빨간불'…연체율 18%대로 급상승

업계 "연말부터 내년 상반기에 만기도래 물량 집중"
내년 부동산 전망 엇갈려…제2 저축은행 사태 우려도

[편집자주]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주력하는 P2P 업체들의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내년 부동산 경기 전망도 엇갈려 관련 P2P 업체의 부실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10월 말 누적 대출액 기준 부동산 PF 대출을 50% 이상 운용하는 업체의 연체율이 낮게는 8.14%, 높게는 18.65%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업권 전체 평균 연체율도 끌어올렸다. 10월 말 평균 연체율은 6.01%로 연초 대비 6배에 육박한다. 올해 들어 평균 연체율은 0~1%대를 유지했다. 

P2P 업체는 부동산 PF를 틈새시장으로 보고 지난해부터 연이어 뛰어들었다. 부동산 경기를 낙관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막차를 타겠다는 경쟁에 불이 붙었고, 50억원 미만의 상가 건물 PF 상품 등을 주로 출시했다. 하지만 도중에 공사가 중단되는 등의 악재가 생겼다. 

부동산 PF 대출은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상품이다. 사업 구조도 복잡하고, 은행에서 대출받지 못하는 영세 사업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이어서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높다. P2P 대출 만기는 보통 6개월에서 2년 정도. 지난해 대규모 대출 모집액이 올해 하반기 들어 만기 도래하면서 부실로 이어지고 있다. 

18.65%의 연체율을 기록한 이디움펀딩은 부동산 PF 전문회사로 대출액의 96% 이상이 부동산 PF에 몰려 있다. P2P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PF만 취급하는 업체가 꽤 많은데, 올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 도래 물량이 몰려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연체율은 더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부동산 대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확실해져서다. 감독 사각지대에 있거나 투자 검증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업체도 많다. 금융당국은 향후 부동산 PF 대출의 투자 리스크가 더 커진 것으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관련법 없이 가이드라인에 의지하고 있어 감독이 미비하다"며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관련법 제정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P2P 업계 부실화가 확산한다면 제2의 저축은행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규모보다 부동산PF 대출의 증가 속도가 빠른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부동산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수익성보다는 지속 가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