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文대통령 첫 대북메신저는 누구…北김여정 배석 4人 집중

靑 임종석 정의용·조명균 통일장관·서훈 국정원장 등
靑 "특사논의 아직…여건조성 위해 4强 접촉부터"

[편집자주]

(청와대 페이스북) 2018.2.10/뉴스1 © News1
(청와대 페이스북) 2018.2.10/뉴스1 © News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평양 초청'으로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첫 대북 특사로 거론되는 이들에게 관심이 모인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0일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김여정 당 제1부부장 일행의 청와대 접견에 배석한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주목받고 있다.

우선 청와대 '2인자'로 정치적 무게감이 큰 임 실장이 특사에 유력 거론된다.

특히 임 실장은 한양대 총학생회장이던 1989년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의장을 맡아 임수경 전 의원의 '평양축전참가'를 진두지휘하며 북한에서도 이름이 알려졌다. 국회의원 시절엔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 6년을 활동하며 전문성을 갖췄다는 평가다. 2004년엔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부회장으로 선출된 바도 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임 실장은 '역할이 주어지면 한다'는 입장"이라며 "본인이 운동권 출신이라 여론에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했는데, '북한을 잘 아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못할 이유는 없지 않겠냐"고 말했다.

서 원장과 조 장관의 경우 문 대통령이 당시 북측 고위급 대표단에 소개하면서 "제가 이 두 분을 모신 것만 봐도 남북관계를 빠르고 활발하게 발전시켜 나가려는 의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문제와 관련해 직접 나서본 경험이 많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국정원장의 경우 앞선 두 차례 정상회담 때 특사로 국정원장이 파견된 전례(1차 임동원 전 원장, 2차 김만복 전 원장)가 있다. 서 원장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임동원 전 국정원장이 특사로 북한을 오갈 때 동행하는 등 김대중·노무현정부 당시 북한과 자주 접촉했었다.

남북회담 전문가이자,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정부부처 공식 라인인 조 장관도 하마평에 올라 있다.

청와대 통일외교안보 컨트롤타워이자 대미(對美)라인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정 실장,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인 문정인 연세대 특임명예교수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문 교수의 경우 대미특사 후보로도 거명된다.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격을 맞춘다면 정부서열 2위인 이낙연 국무총리도 후보군에 포함될 수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3남인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 상임의장은 전날(13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 "(북측 대표단과) 격은 맞춰야 하니 총리·부총리급 고위급이 가야 하지 않을까"라며 "대북접촉 경험이 많은 분이면 좋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조건을 다 갖춘 분이 없으면 예를 들어 수석대표는 총리급, 부대표는 대북경험이 많은 분, 이런 식으로 할 수도 있겠다"고 '특사단' 구성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청와대는 대북 특사와 관련한 공식적 논의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북측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대표단을 구성한 것과는 달리 우리 측은 여건 조성이 우선이라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특사 논의를 서두를 하등의 이유가 없다. 한미 간, 그 이후엔 중국·러시아·일본에 유엔까지 포함해 분위기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