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라돈 침대 사건, 가습기 살균제와 유사…범정부 대책 필요"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현안점검회의 개최

[편집자주]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부처 긴급 현안점검회의'에서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2018.5.17/뉴스1 © News1 박지수 기자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부처 긴급 현안점검회의'에서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2018.5.17/뉴스1 © News1 박지수 기자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17일 최근 불거진 '라돈 침대' 사건에 대해 "범정부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참사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소비자원 등 주요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안종주 특조위원은 "가습기 살균제 사건, 석면 베이비 파우더 사건과 매우 유사하다"면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의를 계기로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지금 가지고 있는 정보들도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침대를 빠르게 수거하고, 피해자들의 건강 관리를 보장하는 등 정부 부처와 민간단체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칠 특조 위원도 "현재 피해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부 부처간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면서 "전체적으로 라돈을 비롯한 방사선 물질 방출 제품에 대한 포괄적인 점검이 필요하고, 최종적으로는 향후 대책까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 자격으로 참여한 조승연 연세대 교수는 "모든 국민들이 인재로 판단하고 받은 충격이 크다. 가습기 살균제, 석면 파동 때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피해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검출된 라돈 수치를 통해 통계적인 보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라돈 침대'를 사용해 피해를 입은 시민들도 참석했다.

세종시에서 살고 있는 배모씨는 "2013년 11월에 혼수로 침대를 샀는데 매트리스는 대진침대 제품을 사용했다"면서 "아기를 한 차례 유산한 뒤 어렵게 낳았는데, 아기가 6개월동안 같은 침대에서 먹고 자고 놀았다. 이번일로 모유 수유도 끊었고, 앞으로 아기에게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겠다"며 눈물을 흘렸다.

배씨는 또 "문의를 하기 위해 전화를 걸면 원안위와 환경부는 서로 본인들의 소관이 아니라면서 떠넘겼다. 우리는 대체 어디로 전화를 해야 하나"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진영우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과학적으로만 말씀드린다면 현재까지로는 모유 수유를 당장 끊을 필요는 없다. 장기적으로는 당연히 파악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라돈이나 토륨으로 발생된 납의 농도는 굉장히 낮게 나온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양순필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장은 "오늘 회의를 공개 진행한 것은 우리가 피해자들의 입장에서 정부에게 피해자들이 원하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주기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빠른 시일내에 대책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