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타르' 더 많다는 궐련형 전자담배…발암물질은 왜 적을까?

"타르는 유해화합물 복합체…알려지지 않은 성분 있을 수도"
"궐련형 전자담배 타르 성분 따로 연구해야…일반담배와 단순비교 어려워"

[편집자주]

7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거리에서 시민들이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고 있다. © News1 이재명 기자
7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거리에서 시민들이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고 있다. © News1 이재명 기자

궐련형 전자담배 타르 함유량이 일반 궐련 담배보다 많다는 보건당국 분석 결과가 나왔지만, 타르에 포함된 각종 발암물질은 전자담배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고 전자담배가 덜 해롭다는 뜻은 아니라고 당국은 설명했다. 

분석을 진행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궐련형 전자담배에서 일반 담배 유해성분으로 알려진 벤조피렌 등이 상대적으로 적게 검출됐음에도 타르가 많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은 유해물질이 다량 포함돼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타르는 특정 성분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다. 연기나 증기 등 담배 배출물에서 찌꺼기와 수분, 니코틴 값을 뺀 나머지 물질을 말한다. 기존 일반 담배에서 배출되는 타르 안에는 벤조피렌, 아세트알데히드 등 70종의 발암물질이 포함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는 필립모리스사의 '아이코스'(앰버)와 브리티쉬아메리칸토바코(BAT)의 '글로'(브라이트 토바코), KT&G의 '릴'(체인지) 등 궐련형 전자담배 3종의 배출물을 대상으로 니코틴, 타르 등 11개 유해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방법은 ISO(국제표준화기구)방식과 헬스 캐나다(HC, 캐나다 보건부)방식을 사용했다. ISO 방식은 담배 유해성 검사의 국제 표준 방식으로, 필터의 변형 없이 배출물을 분석한다. 반면 HC방식은 실제 사람들이 흡연하는 방식을 고려해 흡입부피와 흡입빈도를 강화한 방법이다. 흡연자들이 담배 필터를 입술로 물고 흡입하면 필터 안의 구멍이 눌려 정화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것이다.

분석 결과 궐련형 전자담배의 타르 평균 함유량(ISO방식)은 일반 담배보다 평균 1.5배, 최대 90배 많았다.

국내 소비가 많은 디스플러스, 던힐 등 일반 궐련 담배 5종의 평균 타르 함유량은 0.1~0.8mg/개비(다소비 5개 제품 4.3~5.8mg)인데, ISO 방식으로 분석한 아이코스, 글로, 릴 등 전자담배 1개비 평균 타르 함유량은 각각 9.3mg, 4.8mg, 9.1mg로 글로 제품을 제외하고는 타르가 더 많이 검출됐다.

HC 방식으로 분석한 아이코스, 글로, 릴의 타르 검출량도 각각 평균 18.8mg, 20.2mg, 17.1mg로 일반 궐련 담배(11.1~18.1mg)보다 많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원이 7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배출물 포집장치로 유해물질 등을 포집하고 있다. © News1 장수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원이 7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배출물 포집장치로 유해물질 등을 포집하고 있다. © News1 장수영 기자

궐련형 전자담배의 타르 함유량이 일반 담배보다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지만 WHO가 저감화를 권고한 벤조피렌 등 9개 성분 중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성분 함량은 일반 담배의 0~28.0%(ISO방식)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민경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궐련형 전자담배는 새로운 영역의 제품이기 때문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유해성분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번 분석은 기존 일반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토대로 진행했기 때문에 발암물질이 검출된 사실만으로도 전자담배가 유해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타르 안에 포함된 발암물질이 약 70종, 유해물질이 7000여종으로 알려져있지만 이러한 사실은 기존 일반 담배를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분에 대한 연구는 없기 때문에 향후 학계에서 연구를 진행해야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식약처는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궐련형 전자담배의 타르 성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다.  

김성곤 식약처 소비자위해예방정책과장은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면서 "미국처럼 담배 제조업체가 유해성분 자료를 제출하도록 담배사업법이나 국민건강증진법을 개정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