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美中 통상전쟁②] 韓주력산업 '전·차·철·기' 속수무책

美, 사실상 중국산 수입품 전체 대상 '관세폭탄'
반도체·전자·車·철강 등 韓중간재 수출 타격 불가피

[편집자주]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지난 6일 미국 정부가 340억 달러(약 38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매긴 25%의 고율관세 부과 품목(818개)은 주로 정밀기계·자동차·전자제품 등 첨단 산업 분야다. 중국 정부의 첨단 제조 육성 정책인 '중국 제조 2025'의 기술침해 행위를 문제삼았기 때문이다. 항공·우주, 전자·반도체 부품, 정보통신, 로봇, 산업기계, 발광다이오드(LED), 항공기 엔진, 신소재 등이 망라됐다. 

미국은 지난 10일 추가로 2000억 달러(약 223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 10% 부과를 결정했다. 기존 철강·알루미늄, 화학, 첨단 제품과 함께 TV·냉장고 등 가전을 비롯한 일반 소비재들이 다수 포함됐다. 미국은 중국 정부가 보복관세에 나설 경우 지난해 중국에서 들여온 전체 수입품 규모(5055억 달러)로 관세폭탄 투하 대상을 넓히겠다고 공언했다. 사실상 중국의 대미 수출품 전체를 대상으로 삼겠다는 얘기다.  

산업계에선 미·중 무역전쟁의 확전으로 국내 수출기업 전체가 'G2 무역전쟁' 먹구름의 영향권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줄면 한국의 대중 수출에서 80% 비중을 차지하는 중간재 수출이 준다. 특히 반도체·전자·자동차·철강·정유·화학·기계 등 한국 경제를 떠받쳐 온 주요 제조 산업과 대표 기업들이 직간접적인 수출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슈퍼 호황'을 이어 온 반도체 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중국은 세계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시장이다. 삼성과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에 반도체 부품을 납품한다. 반도체 부품과 모듈이 고율 관세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출 타격이 우려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어떤 식으로든 수출 피해가 불가피하지만 정확한 피해 규모와 파장을 예상하기 어렵다는 게 더 문제"라고 말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통상분쟁 외에도 중국 정부의 '제조 굴기'에 따른 한국 기업 견제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자동차 업계도 사면초가에 몰려 있다. 미국 정부가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에 달하는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국내 공장에서 만든 차 일부를 미국에 수출해 판매한다.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판매가 줄 수밖에 없다. 미국에서 운영하는 현지 공장 생산비용도 10% 가량 늘어난다. 한국에서 들여오는 부품에 고율 관세가 매겨지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의 수입제한 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업계도 마찬가지다. 유럽연합(EU)의 긴급수입제한(세이프가드) 조치도 현실화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퇴로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이밖에 석유·화학·기계 업종의 기업들도 무역전쟁에 따른 수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비상 대응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이사 대우)은 "무역전쟁의 확산에 대비해 정부와 기업이 선제 대응 체계를 미리 구축해야 한다"며 "통상갈등의 와중에서도 틈새시장 진출 기회를 적극 활용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