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해수부, 아라온호 북극항로 관문 '동시베리아 해빙' 원인 밝혀

세 방향 유입 물 흐름 변화 해류순환 영향 줘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편집자주]

아라온호의 환경변화 통합관측 연구해역(출처: 북극해 환경변화 통합관측망 시스템)© News1
아라온호의 환경변화 통합관측 연구해역(출처: 북극해 환경변화 통합관측망 시스템)© News1

동시베리아해 해빙이 모여드는 현상이 세 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의 흐름 변화가 해류순환에 영향을 주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해양수산부는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연구항해로 동시베리아해에서 발생하는 바다얼음 '해빙'의 이상 움직임을 규명할 실마리를 찾았다고 24일 밝혔다.

해빙은 북극항로를 지나는 선박의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로 인공위성 관측이 시작된 1979년 이후 40년 동안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태평양에서 북극항로를 드나드는 관문인 동시베리아해에서는 다른 북극해역과 달리 해빙들이 모여드는 이상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시베리아해는 북극항로에서 가장 위험한 구간으로 꼽힌다. 최근까지도 이 해역에 접근하기 어려워 현장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라온호는 올해 연구항해에서 작년에 동시베리아해 결빙해역 수중에 설치했던 장기해양계류시스템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장기해양계류시스템은 퇴적물포집기, 어류 음향탐지기 등 연구장비를 일렬로 연결해 해수면으로부터 최대 1㎞까지 해류의 방향과 속도, 수온 등 환경변수를 관측하는 장비이다. 이 장비는 바다 속에 길게 늘어뜨려 설치하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분실하기 쉬워서 연구자들은 회수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회수한 장기해양계류시스템의 분석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맡았다. 그 결과 대서양과 태평양의 바닷물, 러시아 육상의 담수 등 세 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의 흐름 변화가 해류순환에 영향을 주어 동시베리아해에 해빙이 모여드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오행록 해양개발과장은 "북극 해빙의 감소는 이상기후로 인류에 위협이 되기도 하지만, 그와 동시에 북극항로 개척과 미개발자원의 발견 등 기회도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관련 연구를 지속 추진하여 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북극항로는 기후변화로 북극해를 덮고 있던 해빙이 녹아 배가 지나갈 수 있게 되면서 향후 본격적인 상업운항이 기대되는 바닷길이다. 우리나라에서 출발해 유럽까지 북극항로를 이용할 경우, 기존 수에즈운하를 통과했을 때보다 거리가 32% 단축(22,000㎞→15,000㎞)돼 열흘 정도(40일→30일) 운항시간이 줄어든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