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2027년까지 수달·황새 등 멸종위기 27종 복원 추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수립
개체 복원서 서식지 보전으로 패러다임 전환

[편집자주]

지난해 강원 인제군 소양강 상류에서 구조된 아기 수달. © News1 홍성우 기자
지난해 강원 인제군 소양강 상류에서 구조된 아기 수달. © News1 홍성우 기자

반달가슴곰 복원에 이어 오는 2027년까지 수달 등 등 25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복원하고 서식지를 보전하는 정부 차원의 로드맵이 나왔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2018~2027)'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복원→서식지 보전 패러다임 전환…25종 우선 복원

이번 종합계획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전 정책 방향을 개체 복원에서 서식지 보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았다. 10년 단위 계획인 종합계획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처, 생명의 한반도'를 비전으로 추진된다.

먼저 환경부는 국내 멸종위기종 총 267종 가운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인 반달가슴곰 등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정하고, 이 중 25종을 우선 복원할 계획이다. 25종은 복원이 시급하고 복원 가능성이 큰 야생생물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2027년까지 복원 사업이 우선 추진되는 종은 멸종위기 I급 야생생물인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여울마자 △모래주사 △나도풍란 △만년콩과 II급인 △무산쇠족제비 △양비둘기 △남생이 △금개구리 △큰줄납자루 △한강납줄개 △소똥구리 △참달팽이 △가는동자꽃 △서울개발나물 △신안새우난초 △한라송이풀 등이다.

현재 복원 중이거나 사업이 시작될 예정인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수달 △저어새 △황새 △따오기도 포함된다.

환경부는 복원 사업과 함께 산줄기, 하천, 습지 등 야생생물의 서식지 보전과 평가·분석도 병행할 방침이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연계해 서식지 변동 가능성에 따른 신규 서식지 발굴과 외래종·오염물질·인간간섭·올무 등 위협요인 제거 활동도 나선다.  

◇멸종위기종 복원 컨트롤타워 개원

멸종위기종 복원과 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도 새롭게 출범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지난 2015년 착공한 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오는 31일 개원한다.

복원센터는 멸종위기종 분포 조사부터 종 복원 기술개발, 증식·복원 및 사후관리 등 복원의 전 과정을 총괄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경북 영양에 위치한 복원센터는 전체 부지면적은 255만㎡로 축구장 358개를 합친 크기다. 부지 내 연구, 증식·복원 및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복원센터는 우선 연내에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여울마자, 황새, 수달, 나도풍란 등 7종의 복원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종선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반달가슴곰 복원을 시작으로 환경부가 종 보전 정책을 추진한지 15년이 지나고 있다"며 "앞으로 10년간 서식지 개선과 종 복원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잘 이행해서 한반도의 많은 생물들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고 백두대간 생태축을 따라 안전하게 남북을 서로 오가며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