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중국군 유해송환…발전된 한중관계 과시

북한 내 국군전사자 유해 송환에도 영향 줄 듯

[편집자주]

19일 중국군 유해가 묻힌 경기 파주시 적성면 적군묘지가 유해송환 작업을 앞두고 개토돼 있다. © News1 손형주 기자


한국과 중국이 6·26전쟁 당시 전사한 중국군 유해를 송환키로 합의한 것은 한중관계 발전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국방부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월 중국 방문 당시 제안했던 중국군 유해송환에 대해 양국이 수 차례 실무협의를 갖고 송환에 완전 합의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국은 현재까지 발굴된 중국군 유해 및 관련유품을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중국 측에 인도할 것”이라며 “유해송환과 관련된 제반 준비작업은 한국 측에서 지원하고 중국으로의 송환작업은 중국 측 책임 하에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전쟁 후 전국에 산재한 북한군과 중국군의 적군묘를 1996년에 경기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 산55번지 일대에 모아 적군묘지를 조성했다.

당시 조성한 적군묘지의 규모는 5204㎡(약 1577평) 정도이고 현재 북한군 유해 550여구와 중국군 유해 425구가 묻혀 있다.

파주 적군묘지는 제네바협정과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조성됐다. 우리 군은 이 곳을 원래 '적군묘지'로 불렀다가 현재는 '북한군·중국군 묘지'라는 표현으로 명칭을 바꿨다.

제네바협정 가운데 추가 의정서 34조는 ‘교전 중 사망한 적군 유해를 존중하고 묘지도 관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중국은 6·25전쟁 당시 북한군을 지원한 적군으로 참전해 1·4후퇴의 뼈아픈 상처를 우리 역사에 남겼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적군의 유해를 수습해 묘지를 조성하는 등 화해의 손길을 먼저 내밀었다.

이번 중국군 유해송환은 한국전쟁 당시 서로 적으로 싸웠던 두 나라가 60년 만에 우방관계에 진입했음을 전세계 알리는 상징적인 조치로 평가받는다.

한 외교전문가는 “중국군 유해송환 합의는 서로 적이었던 과거의 역사를 뒤로 하고 새로운 한중관계를 위한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두 나라 간 정치, 경제 등 부분뿐만 아니라 군사부분까지 소통강화를 위한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도주의 측면에서도 이번 중국군 유해송환 합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최근들어 중국인 관광객이 파주를 찾아 중국군 묘지를 참배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 묻힌 전사자를 가족의 품으로 보내주게 돼 우리 정부의 인도주의 정신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중국군 유해송환은 북한 내 묻혀있는 국군전사자의 유해 발굴·송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정부는 중국군 유해송환을 예로 들며 적극적으로 북한과 대화에 나서 국군 전사자 및 생존 국군포로 송환에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됐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