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서울대 등 5개 대학 "연구업적 평가방식 대폭 개선해야"

[편집자주]

© News1
© News1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 국내 이공계 5개 대학들이 정부의 연구 업적 평가에서 정량적 평가를 지양하고 정성평가를 도입하는 등 시스템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15일 서울대 등에 따르면 이들 5개 대학 연구부총장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자 평가방식 개선을 촉구하는 공동선언문에 최근 합의하고 이를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전달하기로 했다.

5개 대학들은 선언문에서 "연구개발 분야는 지난 30여년 동안 논문의 양과 세계적 평가에서 비약적 발전을 거듭했지만, 정량적 연구 실적 증가는 정체 상태이며 연구 업적의 질을 보여주는 피인용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는 많은 연구자들이 정량적 실적을 채우는 데 급급해 남들이 해 본 연구를 따라하고 손쉽게 결과를 내는 방식을 따르기 때문"이라며 "과학인용색인(SCI) 국제학술지 논문 수와 IF(Impact Factor·영향력 지수) 등 각종 정량 지표들은 연구자가 독창적이고 모험적인 과제에 도전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창의적이고 모험적 주제를 추구할 수 있도록 연구 풍토를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의 연구업적 평가 시스템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며 "현재 정량 지표 일변도인 연구 업적 평가를 지양하고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따른 정성평가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목표 도달로 연구개발의 성공 여부를 판별하기 보다 연구결과 본연의 가치가 평가되도록 하고, 공정성·객관성을 지나치게 강조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평가자 풀에서 배제해 평가의 전문성을 떨어뜨리는 일도 없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대학들은 선도적으로 대학 내 업적평가 시스템을 개선해 모험적이고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가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재원의 상당 부분을 정부에서 부담하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정부 연구비에 의존하고 있어 정부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