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潘 견제 vs 반文연대 구축…朴퇴진 시점 맞선 여야 속내

與 "6월이면 해볼만"…정계개편 변화냐 주도권 유지냐

[편집자주]

© News1 허경 기자
© News1 허경 기자

여야가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두고 각각 '4월 퇴진'(새누리당)과 '1월 사퇴'(더불어민주당)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는 퇴진 60일 후 펼쳐질 조기 대선 유불리에 따른 정치권의 '주판알 튕기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새누리당은 이미 '4월말 퇴진 6월말 대선' 로드맵을 당론으로 확정한 상태다.

아울러 비주류가 중심인 비상시국위원회 역시 사퇴 마지노선을 4월30일로 정하며, 박 대통령이 오는 7일 오후 6시까지 사퇴 관련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1월말을 대통령의 사퇴 시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추미애 대표는 전날(1일)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와 만나 '헌법재판소의 탄핵결정에 따른 1월말 사퇴'를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대선은 자연히 내년 3월에 열리게 된다. 여당에 비해 3개월 정도 빠른 셈이다.

현재 야3당이 추진하는 '9일 탄핵' 역시 조기대선 시나리오로 귀결된다.

국회에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이후 탄핵심판 청구가 인용된다면 이르면 6월, 늦어도 8월에 대선이 진행된다. 자진사퇴하는 경우보다 대선 시점은 느리지만, 탄핵안 통과시부터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야가 박 대통령의 퇴진절차 및 시점을 두고 이같이 대립하는 이유는 차기 대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여권은 개헌을 고리로 정계개편을 통한 변화를 바라지만, 야권은 한시바삐 대선 모드에 들어가 주도권을 유지하고자 한다.

문재인 전 대표라는 확실한 대권주자를 보유한 민주당으로선 '최순실 사태'로 혼돈에 빠진 여권이 전열을 정비하기 전 대선을 치르는 게 유리하다.

더구나 통상 소요되던 6개월~1년간 대선 준비기간이 짧아진다면, 현재 여론조사 지지도가 대선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지지율 1위는 문 전 대표이고, 이재명 성남시장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야3당 원내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탄핵안 표결 등을 논의하는 회동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2016.1.2/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야3당 원내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탄핵안 표결 등을 논의하는 회동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2016.1.2/뉴스1 © News1 허경 기자

반면 뚜렷한 대권주자가 없이 도토리 키재기만 반복하는 새누리당으로선 대선 시기를 늦추는 것이 유리하다.

여당은 3~4월에 대선이 열린다면, 제대로 된 후보 검증이 불가능함을 강조한다. 일각에서는 제대로 된 후보조차 낼 수 없을 것이라는 자조섞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 전국을 거쳐 순회경선 후 후보를 선출해야 하는데 3월에 (대선을) 치를 수 있겠느냐"면서 "그럼 그렇게 탄생된 정부가 공정성 시비, 정통성 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여권 인사들은 6개월 정도라면 반전의 초석을 닦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이러한 기대감에는 내달 15일 전후 귀국을 예고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자리한다.

반 총장이 앞서 새누리당에 대한 거부의사를 직간접적으로 밝혔지만, 분권형 개헌을 고리로 범여권 연대가 구축된다면, 친문재인 중심의 민주당과 맞붙을 수 있다는 평가다.

여권 핵심인사는 "대선 구도는 결국 친문 대 반문의 구도로 갈 가능성이 크다. 문 전 대표만큼 고정적인 지지층이 나오는 인사는 반 총장밖에 없다"며 "여름에 열린다면 해볼 만하다"라고 전망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