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美, 1994년 한반도 전쟁 계획했다가 포기"

기밀 해제 문서…"수많은 사상자 우려 때문"

[편집자주]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노동신문) ©뉴스1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노동신문) ©뉴스1

미국 정부가 지난 1994년 '북핵 위기' 당시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계획했으나 대규모 민간인 살상을 우려해 포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 조지워싱턴대 부설 국가안보문서보관소는 8일(현지시간) 기밀 해제된 미 정부 문서에 담긴 주요 인사들의 발언을 취합·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문서에 따르면 빌 클린턴 행정부 때 국방부 장관 및 대북특사를 지낸 윌리엄 페리 전 장관은 1998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회담에서 "4년 전 북핵 위기 때 북한과 전쟁을 계획했었다"고 말했다.

페리 전 장관은 "한국과 미국의 전력을 합하면 전쟁에서 이기는 건 당연지사"라면서도 "전쟁이 수많은 사상자를 낳기" 때문에 포기했다고 설명했다.

페리 전 장관은 1999년 대북특사로 평양을 방문했을 땐 북한 지도부에 미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은 "받아들일 수 없는" 위협이라며 만약 관련 활동이 지속된다면 북·미 관계에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보관소는 또 클린턴 정부도 전임 조지 H.W 부시 행정부처럼 한반도 안보 이슈에 대한 신속하고 쉬운 해결책이 없음을 파악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보관소는 이후 미 정부가 대북정책에 '당근과 채찍'을 모두 담으면서도 군사 옵션은 논의하지 않았다며 이는 클린턴 정부 때 전쟁을 '포기'한 결정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1997년 작성된 문건에선 미 국무부가 경제제재로 북한의 기근이 심화되면 "위험하고 혼란스러운 상황", 즉 인도적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 사실도 확인됐다.

미 당국은 이에 따라 남북한과 미국·중국이 참여하는 이른바 '4자 회담'에선 북한 체제 붕괴 북한 정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의미 있는 개혁까지 다루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