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홍콩 주둔 인민군 6천명 시위현장에 먼저 투입될 수도

[편집자주]

11일  송환법 완전 철폐 등을 요구하는 홍콩 시위대가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11일  송환법 완전 철폐 등을 요구하는 홍콩 시위대가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중국 공산당의 입인 후시진 환구시보 편집국장이 홍콩의 시위가 악화될 경우, 인민해방군(이하 인민군)을 시위 현장에 투입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자 홍콩 주둔 인민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홍콩에는 6000명의 인민군이 주둔해 있으며, 선전에 예비병력 수천 명이 주둔하고 있다. 홍콩정청이 요구하면 인민군을 시위현장에 투입할 수 있다고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13일 보도했다.

베이징은 홍콩 정청의 요청이 있을 경우, 홍콩 주둔 인민군을 일단 시위현장에 투입하고, 시위 진압이 여의치 않을 경우, 본토에서 추가 병력을 파병할 것으로 보인다.

인민군은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에 주둔하고 있다. 홍콩 주둔 인민군 사령부는 ‘뱅크오프아메리카’ 타워 인근에 있다.

홍콩 주둔 인민군은 일단 홍콩이 중국의 땅이라는 것을 알리는 상징적인 존재다. 태풍 등 자연 재해시 홍콩정청의 요구에 따라 현장에 투입될 수 있다.

홍콩 기본법 14조는 홍콩정부가 공공질서 확립, 재해 복구 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 중앙정부에 홍콩주둔 인민군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2018년 태풍 망곳이 홍콩을 강타했을 때 재해 복구를 위해 인민군 400명이 동원됐었다. 이는 1997년 반환 이후 처음이었다.

당시 일부 시민들은 향후 인민군의 홍콩 개입의 빌미가 된다며 인민군의 재해 복구 활동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홍콩·마카오판공실의 양광 대변인은 12일 기자회견에서 "홍콩의 과격 시위대는 경찰관을 공격하기 위해 극도로 위험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는 이미 심각한 폭력 범죄에 해당하며, 사실상의 테러활동"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같은 행위는 결코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인민군의 홍콩 시위 현장 투입이 임박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홍콩 주둔 인민군 사령관인 천다오샹 소장은 시위 사태와 관련, “캐리 람 행정장관이 이끌고 있는 홍콩정청을 적극 지지한다”며 “홍콩 정청의 요구가 있을 경우, 시위에 개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회견을 하면서 시위를 진압하는 3분짜리 동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홍콩정청은 아직 중앙 정부에 인민군 투입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