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23조원 쏟아부어 끌어올린 고용지표…연간 취업자 25만명 예상

8월 취업자 증가 45.2만명…고용목표 20만→25만명 상향
전문가 "기업여건 개선 중요…당분간 고용증가 유지 예상"

[편집자주]

© 뉴스1
© 뉴스1

취업자수와 고용률, 실업자, 실업률 등 모든 고용지표가 일제히 개선된 가운데 올해 23조원을 투입한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사업이 고용개선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시장이 바닥을 치고 상승기류에 올라타면서 연간 고용목표치도 당초 예상했던 20만명 초반대에서 20만명 중반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전문가는 재정을 투입한 일자리 뿐 아니라 제조업·서비스업 등 민간일자리 확대가 결국 고용개선의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8월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만2000명 증가하며 2017년 3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15~64세(OECD 비교기준) 고용률은 67%로 8월 기준 통계집계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면 실업자와 실업률은 각각 85만8000명, 3.0%를 기록하며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뚜렷한 고용회복세를 나타냈다.

고용개선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재정의 투입이다. 늘어난 일자리를 보더라도 재정이 투입된 복지일자리 위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재정일자리인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취업자는 17만4000명 증가해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다.

연령별로 보더라도 재정 일자리 주 대상인 60세 이상 취업자가 39만1000명 증가하며 전체 취업자 증가규모의 87% 비중을 차지했다.

구조조정 안정화와 제조업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이 줄어든 부분도 고용개선에 한몫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제조업에서 지난해부터 지난달까지 10만명대 감소를 기록했다. 그게 구조조정 때문에 일어난 일인데 구조조정이라는 게 일어나는 시기에는 고용이 많이 감소하지만 어느정도 안정화하는 단계에서는 고용이 덜 줄게 된다"며 "그리고 정부가 지금 일자리 사업을 굉장히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고 또 은퇴하신 분들도 재정일자리 이런 것도 제공이 되고 있다. 그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고용지표가 올라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상황이 크게 개선되면서 정부가 수정한 연간 고용목표치 20만명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민간일자리 회복이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지목됐다.

8월까지 평균 취업자 증가폭은 24만9000명 수준으로 확대됐다. 남은 9~12월 4개월 동안 25만명 수준을 기록할 경우 20만명 중반대 취업자 증가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고용상승세와 함께 지난해 취업자가 크게 감소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월평균 25만명 증가폭도 무리는 아니다. 실제 올해의 경우 1월과 4월을 제외하고 모두 25만명 이상의 증가폭을 기록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하 교수는 "당분간 고용증가를 유지할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게 계속될 수 있느냐 여부는 일단 구조조정이 잘돼서 새로운 산업과 기업이 잘 커가는 여건이 되면 일자리가 생길 수 있는데 당장은 단기적으로는 좀 많이 증가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 교수는 "결국 정부가 재정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써서 일자리를 유지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인구구조상 젊은이 숫자가 줄어드는 면이 있지만 현재 정부가 일자리 예산도 많이 확대하고 있고 일단 고용률이 지금 우리나라는 워낙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당분간 고용증가를 유지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