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필리핀 탈 화산 대폭발 징후 포착 …과학자들 경고

12일 폭발 후 사흘새 화산 지진 466차례
"분화구 둘러싼 2개 호수, 쓰나미 유발 가능성"

[편집자주]

필리핀 탈 화산. © 로이터=뉴스1
필리핀 탈 화산. © 로이터=뉴스1

필리핀 탈 화산에서 대폭발 징후가 포착됐다는 과학자들의 경고가 나왔다. 화산 폭발 시 분화구를 둘러싼 2개의 호수가 쓰나미를 유발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 대중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14일(현지시간) "탈 화산은 폭발적으로 파괴될까?"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같이 보도했다. 

화산 전문가인 트레이시 그레그 미 버팔로대 지질학과 교수는 "화산 지진이 지표면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그리고 화산 주변 바위에서 조화 진동(일정한 진폭으로 진행되는 가장 단순한 진동)이 감지되는지 이 2가지 신호가 있으면 곧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필리핀지진화산관측소에 따르면 12일 최초 폭발 후 지난 4일 동안 탈 화산 주변에서 460여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올라온 용암이 균열에 압력을 가하면 지진이 일어난다. 더 크고 위험한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마그마가 표면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면 바위를 깨뜨려 특정한 종류의 지진을 만드는데, 떨림과 균일이 감지되고 있다는 건 마그마가 가까워지고 있다는 의미다. 

화산을 둘러싼 호수 2개도 문제다.

잡지에 따르면 화산 가스와 화산재 및 일명 화쇄류로 불리는 잔해들이 풍부한 물과 뒤섞여 뜨거운 이류(mudflow)를 형성하는데, 이는 용암보다 훨씬 더 빨리 산 사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파괴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

2018년 인도네시아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이와 비슷한 사례다. 당시 화산 분화 후 쓰나미가 순다해협을 덮쳐 400명 넘는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 

지하열수가 용암에 닿으면 증기로 변하는 점도 우려를 높이는 부분이다. 뜨거운 증기는 폭발할 때까지 쌓여 화산 대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 

그레그 교수는 이에 대해 "대폭발이 임박했는지 아니면 난로 위에 끓어오르는 냄비처럼 약간의 증기가 끓어오르는 것인지 확실히 말할 수 없다. 그저 계속 지켜볼 수밖에"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필리핀 당국과 주민들은 공포에 떨고 있다. 반경 14km 지역에 전면 대피령이 내려진 가운데 15일 오전 6시 기준 217개 대피소에 4만 3000여명이 대피한 상태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