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금융권 사외이사, 관료·교수보다 기업·금융인 선호 추세

CEO스코어, 최근 3년간 금융권 134곳 사외이사 현황 분석
기업인 출신 51.35% 증가, 전체 539명 중 316명 3월 임기만료

[편집자주]

© 뉴스1
© 뉴스1
다음 달 주주총회에서 임기가 만료되는 금융권의 사외이사가 전체의 59% 정도로, 이 가운데 상당수가 바뀔지 관심이 모아진다. 금융권에서는 사외이사로 관료나 교수출신이 많았지만, 기업인과 금융인을 더 선호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금융권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혹은 상장사 134곳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사외이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3월 중 임기가 만료되는 금융권 사외이사는 총 539명 중 316명으로 전체의 58.63%에 달했다고 23일 밝혔다.

업권별로 임기가 만료되는 사외이사 규모는 증권사가 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생명보험이 53명, 은행 43명, 금융지주 39명, 손해보험 23명, 신용카드 17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3년간 금융권 사외이사의 출신별 증가추세를 살펴본 결과, 기업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이 금융인, 법조인(회계법인 포함)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는 올해 2월 현재 총 56명으로 2016년보다 51.35%(19명) 늘었다. 같은 기간 금융권 사외이사가 514명에서 539명으로 4.86%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약 10배 이상 증가율이다. 금융인은 같은 기간 22.12%(23명) 증가했으며, 법조회계인도 10.81%(4명) 늘었다.

이에 반해 교수출신 사외이사는 11명이 줄었으며, 관료도 7명 감소했다.

신한‧KB‧하나‧BNK‧우리‧JB‧농협‧DGB금융 등 주요 금융지주 및 계열사들에서도 이런 흐름이 더욱 뚜렷했다. 최근 3년간 금융인과 기업인의 선임은 36.67%(11명), 25%(5명) 증가한 반면 관료와 교수 출신의 증가율은 각각 10.64%, 7.02%에 그쳤다.

한편 금융권 사외이사 출신별 현황을 보면 관료출신이 154명으로 전체 539명 가운데 28.57%를 차지했으며 이어 교수 131명, 금융인 127명, 기업인 56명 등의 순이었다.

다만 관료 출신 사외이사의 경우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 출신은 2016년 37명에서 현재 45명으로 8명이 증가해 선호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획재정부(산하기관 포함) 출신은 8명이 감소했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