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철도안전지킴이]'IoT·드론' 원격제어…철도망 관리 '한눈에'

4150㎞ 철도노선에 사물인터넷 적용…"지진·기상이변도 대응"
철도시설 '사각지대' 드론으로 확인…빅데이터 '시설관리' 본격화

[편집자주]

© 뉴스1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철도망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해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고, 드론을 활용해 위험한 구간의 시설을 관리하는 등 철도관리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IoT와 드론, 빅데이터와 연계한 스마트 기술이 철도시설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어서다. 

25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따르면 기존 철도시설 관리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일일이 현장으로 나가서 육안이나 일부 검측장비로 점검한 후 보수하는 방식이다. 시설의 노후화가 심해져야 시설물 교체와 보강이 이뤄진다. 

공단 관계자는 "전국 96개 노선 4150㎞의 철도는 하루에도 수십 톤의 하중과 고속열차 운행을 견뎌야 한다"며 "교량, 터널, 궤도, 전차선 등 막대한 양의 철도 시설물을 한정된 인력과 재원으로 관리하는 것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고 말했다.

공단에선 철도관리 현장에 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IoT 기술도 그중 하나다. 공단은 IoT 시스템을 활용해 철도 주요 시설물의 상태(변위, 응력, 온도, 미세먼지 등)를 수시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테면 예측이 어려운 기상이변, 지진발생도 대비할 수 있으며 간헐적으로 시행하는 점검과 진단 등의 한계점을 보완해 자동으로 시설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공단은 우선 오는 2022년 말까지 경강선 서원주~횡성 11㎞ 구간에 IoT 시스템을 구축해 실용성을 검증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검증된 시스템은 전국 철도시설에 신속히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드론은 전차선이나 교량 등 직원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미 지난해 9월부터 충청본부가 담당하는 923㎞ 노선에 드론을 통한 안전관리를 시행 중이다. 현장 관계자는 "점검시간 단축은 물론 주기적인 촬영으로 철도 시설 주변의 불법시설물도 손쉽게 포착할 수 있다"며 "긴 거리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인력을 통한 기존 점검방식보다 효율성이 몇 배 높다"고 설명했다.

철도시설 이력관리 종합정보시스템(RAFIS)은 철도시설에 대한 이력과 유지보수 정보를 구축하는 스마트 기술이다. 실제 유지보수 현장에서 철도 시설의 전 생애(기획-설계-시공-유지보수)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내년 상반기 도입을 앞둔 RAFIS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종전 수기로 작성한 이력에 비해 자료를 찾기도 쉽고 철도안전에 직결되는 보수, 개량 시기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관리자가 합리적인 유지보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 선제적 예방보수 체계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단은 앞으로 3년간 철도건설현장 산재 사망사고를 60% 이상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7714개 시설 및 404개 대상 사업장에 올해 6062억 원의 안전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김상균 철도공단 이사장은 "공단이 우선 도입하는 3가지 스마트 기술은 기존 인력 중심의 안전업무를 보완하고 체계적인 철도시설 관리를 끌어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첨단 스마트 기술을 발 빠르게 도입해 궁극적으론 철도를 이용하는 국민들의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