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포닥 상위 1% 연봉 1억 이상…하위 6.7%는 2000만원 미만"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발간 박사후연구원 현황·실상
심화하는 일자리 경쟁…이공계 인력 교육·경력 종합 통계無

[편집자주]

© 뉴스1
© 뉴스1

일명 '포닥'이라는 줄임말로 불리는 박사후연구원(포스트닥터·Post Doctor)의 처우가 우리나라 근로자 전체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박사후연구원의 일자리 지원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긴 하지만, 정작 박사후연구원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일자리 경쟁 심화…30%는 임금은 韓 근로자 평균보다 적어

11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따르면 연구원이 지난달 20일 발간한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규모와 특성'(박기범 선임연구위원·박현준 연구원) 보고서에는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실상이 담겨있다.

이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신규 박사학위자는 1만3170명이고 이중 박사후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하는 이들은 3000명이었다. 이중 이공계 박사가 2300명 규모에 달했다.

박사후연구원의 절대 다수인 이공계열의 지도교수 연구실 잔류 비중은 38.5%로 10명당 약 4명 수준이었다. 그나마 최근 들어 국내 타 대학과 출연연, 기타 연구조직 등 다양한 분야로 이공계열 박사후연구원의 진출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으나, 학위 취득 이후에도 지도교수 연구실에 머무르는 비중이 작지 않은 것은 신규 박사 취업시장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 국가의 학계 일자리 증가는 박사 배출 규모에 크게 미치지 못해 신규 박사의 노동시장 여건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박사학위자 증가는 가장 빨랐지만 민간 부문 진출 비중은 낮아 일자리 경쟁이 매우 치열한 편인 것이 확인됐다는 게 박 선임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더군다나 박사후연구원의 연간 근로소득(학위취득 시점 기준)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근로자 전체의 평균소득(2018년 기준)보다 적은 소득으로 살아가는 박사후연구원이 10명당 약 3명 수준으로 조사됐다. 박사후연구원 중 2000만원 미만을 받는 인원은 6.7%, 2000만원에서 3000만원 미만을 받는 인원은 22.6%였다.

통계청의 올해 1월 발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97만원으로, 연간으로 계산해보면 3564만원이다.

그래도 가장 많은 인원이 집계된 구간은 3000만원에서 4000만원 미만을 받는 구간(35.9%)이었다.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소득 수치다. 이외 4000만원에서 5000만원 미만은 14.9%, 5000만원에서 6000만원 미만은 13.3%로 집계됐다. 6000만원에서 7000만원 미만은 2.1%, 7000만원에서 8000만원 미만은 2.6%로 조사됐다.

이들 중 8000만원에서 1억원 미만을 받는 인원 및 1억원 이상을 받는 인원은 각각 1.0%였다. 그나마 학위취득 시점에서 최대 2년 경과 후에는 3000만원 미만의 비중은 줄어들고 4000만원 이상의 분포가 증가해 처우 개선의 여지가 엿보였다.

이 시점에선 2000만원 미만은 2.3%, 2000만원에서 3000만원 미만은 19.7%였고 3000만원에서 4000만원 미만의 인원은 32.6% 등으로 집계됐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이공계 인력 종합적 통계 없어…현황파악·정책효과 오리무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백신,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등 과학계에 대한 주목도가 올라가면서 '신진 연구자'라고 볼 수 있는 박사후연구원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박사후연구원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가 없어 수행 기간이나 활동, 연구 여건은 물론 전체적인 규모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박사후연구원의 어느 정도가 수혜를 받는지, 정책 효과는 어떤지 등에 대한 평가도 어렵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2019년 12월 펴낸 '2019년 과학기술인력 통계조사-신규 박사의 노동시장 진입경로 조사 기획'(박기범 선임연구위원·김지선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과학기술인력 양성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통계조사는 없고 교육, 노동, 연구개발, 산업 등 주제에 따라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통계만 존재한다.

학부·석사·박사과정에서의 노동시장 입출입은 △고등교육통계조사(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 졸업자 취업통계조사(한국교육개발원) △대졸자 직업 이동 경로조사(고용정보원) 등이 다루고 있다.

박사과정에서 연구자에 이르는 과정을 다루는 통계에는 △고등교육통계조사(한국교육개발원) △신규 박사 조사(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공계인력실태조사(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해외유학생통계(교육부) △외국박사학위신고통계(한국연구재단) 등이 있다.

개별기관이 서로 정책 목표를 가지고 다른 통계를 생산하는 일은 자연스럽지만 이를 아우르는 통계가 없는 점은 문제다. 유관 통계 자료를 조합해 통합적 파악을 하려해도 학과·산업·직장 규모 등 분류 기준이 다르거나 실정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공계 인력은 대학에 취업하는 비율이 높지만 한국교육개발원의 취업 통계 조사에서는 대학이 취업처로 별도 분리돼 있지 않는 식이다.

미국의 국가과학재단(NSF)은 과학자·공학자 통계 자료 시스템(SESTAT)을 통해 이공계 인력의 교육 및 고용에 대한 각종 수치를 격년 조사로 수집해 정책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한국의 이공계 인력 양성 및 현황에 대한 통계 파악 상황은 걸음마 수준이다. 그나마 지난해 2월 열린 제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2030년을 향한 중장기 이공계 청년 연구인력 성장지원 방안'을 통해 우리 연구인력의 경력개발 경로 및 수급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추적할 수 있는 통계기반을 구축하겠단 계획을 발표했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