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남북관계 경색에 코로나19까지…이산가족 교류 절반으로 '뚝'

올해 이산가족 교류현황 보니…민간 차원 서신교환만 4차례
2019년 이후 당국 차원 교류 '전무'…남북관계 악화 영향

[편집자주]

지난 2018년 8월에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마지막날인 26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작별상봉 및 공동중식에서 남측 황보우영(69)씨와 북측 이부누나 리근숙(84)씨가 눈물을 흘리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8.26/뉴스1 © News1 뉴스통신취재단
지난 2018년 8월에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마지막날인 26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작별상봉 및 공동중식에서 남측 황보우영(69)씨와 북측 이부누나 리근숙(84)씨가 눈물을 흘리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8.26/뉴스1 © News1 뉴스통신취재단
  
경색된 남북관계에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이산가족 교류가 지난해 대비 절반으로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통일부의 '2020년 이산가족 교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산가족 교류는 올해 6월까지 민간 차원의 '서신교환' 4차례만 이뤄졌다. 그 외에 민간 차원의 '생사확인'이나 '상봉'은 전무했다.

이는 전년도인 2019년 같은 기간 민간 차원의 서신교환이 8차례 이뤄졌던 것보다 절반이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민간 차원의 생사확인도 1차례 있었다. 2019년 한 해 동안에는 민간 차원의 서신교환 16회, 생사확인 2회, 상봉 1건(1명)이 성사됐다.

당국은 이처럼 전년 대비 올해 이산가족 교류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가 코로나19 여파 때문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 차원의 교류가 기본적으로 북중 접경지역에서 이뤄지는 데 코로나19의 확산 때문에 북중 접경지역의 통제도 강화됐기 때문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교류가 줄어든 가장 큰 장애요인일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코로나19보다도 2019년 2월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부터 급격하게 경색된 남북관계의 영향이 이산가족 교류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나 지난해 기준 당국 차원의 생사확인, 서신교환, 방남상봉, 방북상봉, 화상상봉은 전무했다는 점이 이러한 분석에 힘을 싣는다.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등 한반도에 훈풍이 불던 2018년에는 당국 차원의 생사확인 292건(1996명), 방북상봉 170건(833명)이 성사된 바 있다. 또 민간 차원의 생사확인은 7건, 서신교환은 36건, 상봉은 1건(1명)이 이뤄졌다. 당국차원 교류가 전무한 지난해나 올해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규창 통일연구원 인도협력연구실장은 "이산가족 교류를 포함한 인도적 남북 교류협력은 하노이 노딜 회담 이후 잘 이뤄지지 않았고, 이후 코로나19 때문에 더욱 얼어붙었다"면서 "사실상 큰 틀에서의 남북관계가 풀려야 인도적 교류협력이 이뤄질 수도 있지만, 반대로 인도적 교류협력이 꼬여있는 남북관계를 풀 수도 있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통일부는 지난 4월 발표한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 : 2020년 시행계획'에서 인도적 협력 차원으로 오는 8월 15일 '이산가족 상봉 20주년'을 맞아 이산가족 대면 상봉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실상 남북 당국 간 2년 동안 이산가족 교류가 없었던 상황을 고려하면 정부의 이 계획은 추진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