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플라스틱 내 내분비계 장애물질 유해영향 규명

안전성평가연구소, 유해 분류기준 토대 마련

[편집자주]

내분비계장애물질 대사체의 유해성 파악 모식도© 뉴스1
내분비계장애물질 대사체의 유해성 파악 모식도© 뉴스1

안전성평가연구소(이하 KIT)가 생활환경 플라스틱 안에서 검출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의 유해영향 원인물질을 파악하는데 성공했다.

인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등 유해 분류기준 마련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4일 KIT에 따르면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다양한 생체신호와 관련돼 정확한 유해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또, 내분비계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기 위한 장기간 노출을 통한 동물 실험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KIT 생태독성연구그룹은 제브라피시를 활용해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독성원인 물질을 발견하고 내분비계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아동용 장난감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DEHP의 대사산물인 MEHP를 대상으로 21일 동안 제브라피시에 노출시켰다.

MEHP는 플라스틱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는 DEHP가 인체 및 환경에 노출 되었을 때 신진대사 및 환경에 의해 대사되는 가장 첫 번째 대사산물이면서, 인체 및 환경에 장기간 잔류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DEHP의 유해성은 널리 알려져 사용 규제 화학물질로 지정됐지만, DEHP의 주요 대사산물인 MEHP의 유해성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다.

제브라피시에서 MEHP의 유해성을 조사한 결과 MEHP는 제브라피시의 산란 감소·배란지연, 성호르몬 변화 등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켰다.

또, 스트레스 반응 증가를 나타내는 코티졸 호르몬의 증가도 유발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되는 DEHP의 주요 대사산물인 MEHP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진행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로 생활 화학제품 함유 유해물질이 체내에 흡수된 후 생성되는 대사산물에 대한 인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앞으로 생활 화학제품 함유 유해화학물질이 인체 및 환경 생물에 미치는 만성영향 독성신호 체계를 작성할 예정이다.

생태독성연구그룹 박창범 박사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 내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글로벌 화학물질 관리 규제에 선제대응 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이번 연구는 환경독성분야에서 새로운 대체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