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문대통령 지지율 39% 조국사태 수준…잘못한 것 1위 부동산(종합)

한국갤럽 여론조사…전주 대비 5%p 하락, 부정평가 53%
민주 33%-통합 27%로 6%p차로 좁혀져…朴탄핵 국면 이후 최소 격차

[편집자주]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1회 집중호우 긴급점검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0.8.11/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1회 집중호우 긴급점검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0.8.11/뉴스1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40%가 무너졌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로 지난해 10월에 한때 40% 밑으로 떨어졌던 이후 10개월 만이다.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어 14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 따르면, 긍정 평가는 전주(44%)보다 5%포인트(p)가 하락한 39%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는 전주보다 7%p가 상승한 53%였으며, 8%는 의견을 유보(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5%)했다. 

지난주까지 5주 연속 긍·부정률 모두 40%대 중반, 3%p 이내였던 차이였지만, 금주엔 14%p로 벌어졌다.

긍정률은 취임 후 최저치, 부정률은 최고치로 모두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퇴 즈음이던 작년 10월 셋째 주와 같은 수치다.

연령별로 긍/부정률은 △18~29세(이하 '20대') △8%/46% △30대 43%/47% △40대 47%/46% △50대 36%/61% △60대 이상 33%/62%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74%가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미래통합당 지지층은 90%가 부정적이었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에서도 부정률이 앞섰다(긍정 22%, 부정 62%).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이유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대처'(24%), '전반적으로 잘한다',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이상 8%), '부동산 정책'(7%), '복지 확대'(6%), '서민 위한 노력', '국민 입장을 생각한다'(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 '부동산 정책'(35%)을 1순위로 꼽았다. 이는 전주보다 2%p 높은 수치로, 6주째 부동산 문제가 부정 평가 이유 1순위에 올라 있는 상태다. 아울러 '전반적으로 부족하다'(12%),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8%), '독단적/일방적/편파적', '북한 관계', '인사 문제'(이상 5%) 등도 지적했다.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정률 하락폭은 30대(60%→43%), 지역별로는 서울(48%→35%) 등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30대는 전월세 거주·생애 최초 주택 실수요자 비중이 크고, 서울은 전국에서 집값과 임대료가 가장 비싼 지역이다.

한국갤럽측은 "정부는 6·17, 7·10, 8·4 대책, 임대차 3법·부동산 3법 국회 본회의 통과에 이르기까지 최근 두 달간 부동산 문제에 집중해왔지만, 집값과 임대료 상승 우려감은 여전히 크다"며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의 '집값 상승세 진정' 발언, 청와대 다주택 고위 참모진 논란 등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바라는 이들에게 적잖은 괴리감 또는 실망감을 안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통령 직무 평가를 긴 흐름으로 보면 작년 1월부터 8월까지 긍/부정률이 40%대에 머물며 엎치락뒤치락하다가 조 전 장관 후보 지명과 취임, 사퇴를 거치면서 10월 셋째 주(39%/53%) 취임 후 긍정률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급증했던 2월 넷째 주부터 하루 신규 확진자가 한 자릿수까지 줄었던 5월 첫째 주까지 긍정률이 지속 상승했으나(42%→71%),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해 7월 둘째 주부터 지난주까지 다시 40%대를 유지해왔다. 그동안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경제/민생 문제, 북한 관계, 부동산 정책 등이 차례로 부상했다.

이와 관련,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1년 10개월 시점인 2014년 12월 셋째 주 처음으로 긍정률 40% 아래, 부정률 50%를 넘었다(37%/52%). 당시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정윤회 국정개입 등에 대한 검찰 수사 진행 중이었다. 이듬해인 2015년 들어서는 연말정산/세제개편안 논란 여파로 1월 넷째 주 긍정률 29%, 부정률 63%까지 급변한 바 있다.

한국갤럽 8월 2주차 정당지지도© 뉴스1
한국갤럽 8월 2주차 정당지지도© 뉴스1

한편,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전주보다 4%p 하락한 33%, 미래통합당은 2%p 상승한 27%를 기록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도 역시 27%에 달했다. 정의당 6%,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 각각 3% 순이었다. 민주당과 통합당간 격차는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본격화 이후 양 계열 정당 지지도에 있어 최소 격차다.    

정치적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57%가 더불어민주당, 보수층의 55%가 미래통합당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성향 중도층이 지지하는 정당은 민주당 31%, 통합당 24% 순이며, 29%가 지지하는 정당을 답하지 않았다. 연령별 무당층 비율은 20대에서 46%로 가장 많았다.

민주당 지지도 하락폭은 수도권, 호남권, 성향 진보층, 30대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지난해 10월 셋째 주 당시 민주당 36%, 자유한국당 27%로 격차 9%p 기록한 바 있으며, 그 외는 모두 두 자릿수 격차였다. 지난 2017년 5월 문재인정부 출범 후 정당 지지도 흐름에서 민주당 최고치는 2018년 6월 지방선거 직후 56%, 최저치는 금주 33%다. 통합당 최고치는 금주 27%, 최저치는 5월 첫째 주와 6월 첫째 주 각각 17%였다.

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10월 둘째 주와 셋째 주에도 27%에 달한 적이 있다. 이는 새누리당 시절이던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본격화 이후 최고치이기도 하다. 자유한국당 지지도는 2018년 7월 평균 10%에 그쳤으나, 점진적으로 상승해 2019년 3월부터 평균 20%를 넘어섰다.

한국갤럽측은 “최근 통합당 지지도 상승은 유권자들의 호응보다 최근 정부와 여당에 대한 불만 또는 견제 심리가 표출된 현상으로 읽힌다”며 “지난주 조사에서 통합당의 야당 역할에 긍정 평가는 20%, 부정 평가가 69%에 달했다. 특히 통합당 지지층 중에서도 통합당이 야당 역할을 잘하고 있다고 평가한 사람은 31%에 그쳐, 여전히 과거 보수 진영의 가장 큰 지지 기반에서 신뢰를 회복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