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케리 美특사 한중 순방…미중 협력공간 열리며 韓외교 숨통?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 통해 활동 공간 넓힐 수 있어"

[편집자주]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 <자료사진> © AFP=뉴스1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 <자료사진> © AFP=뉴스1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의 지난 14~17일 중국 방문을 계기로 미중 사이에 끼어 있는 우리 외교에 다소나마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케리 특사의 이번 방중은 미 정부가 현재 중국과 전 방위 갈등을 빚고 있으면서도 기후변화 등 범세계적 대응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선 '협력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미 국무부에 따르면 케리 특사는 오는 22~23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지구의 날' 계기 기후 정상회의와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개최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고 관련 협력사항들을 논의하기 위해 15~17일 사흘 간 중국 상하이를 방문했다.

케리 특사는 이번 방중 기간 셰전화 기후특사 등 중국 정부 당국자들을 만났다.

케리 특사는 이후 17일 오후 우리나라에 도착,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만찬을 함께하며 기후 정상회의 개최를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앞서 미중관계를 "적대적이면서도 협력적이고 경쟁적"이라고 표현했었다. 이 가운데 미중 양국이 "협력적 관계"에 있다고 밝힌 부분이 바로 기후변화 대응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미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탈퇴했으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올 1월 취임과 함께 협약 복귀를 선언했고, 지난달 말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총리 등 40개국 정상들에게 기후 정상회의 초청장을 보냈다. 이번 기후 정상회의는 화상으로 진행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측도 그동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와 소통을 강화하겠다"(화춘잉 외교부 대변인)며 미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둔 상황.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범지구적 문제를 놓고 미중 간 협력의 기초가 마련된다면 양국 모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우리 정부의 활동 공간 또한 자연스레 넓어질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우리 정부는 미 정부 주도의 쿼드(미·일·인도·호주) 협의체에 대해 중국을 겨냥한 배타성을 우려하면서도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사안별 협력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일각에선 우리 정부가 미중 간의 이른바 '전략성 모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경제·안보·기술 등 양국 간 다툼이 있는 분야보다 기후변화 대응처럼 양국이 함께할 수 있는 영역에서 선제적으로 활동 폭을 넓히고 목소리를 키워가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우리 외교가) 선제적·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원칙을 세우고 그에 따라 행동해야 하되, 때론 일정 부분 손해 볼 각오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도 "인류의 생명·안전에 관한 문제에선 우리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