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UNIST, 양자광원 상온에서 안정적 생성 기술 개발

신개념 공진-나노현미경 활용…광기반 양자통신 상용화 기여

[편집자주]

상온 양자광원 생성을 묘사하는 그림(그림제공:UNIST 박경덕 교수)© 뉴스1
상온 양자광원 생성을 묘사하는 그림(그림제공:UNIST 박경덕 교수)© 뉴스1

한국연구재단은 UNIST(울산과학기술원) 박경덕 교수ㆍ포항공대 노준석 교수 공동연구팀이 2차원 물질의 양자광원을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나노광학 공진기는 광원의 위치는 제어할 수 있지만 공간 분해능에 제약이 있었고, 탐침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은 분해능은 높지만 양자광원 생성은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이 둘을 결합, 공진-나노현미경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용한 빛 제어 및 측정시스템을 설계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속 도미노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원자수준으로 뾰족한 나비넥타이 형태로 나노광학 공진기를 제작, 2차원 반도체 물질의 양자광원을 원하는 위치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했다.

공동연구팀은 이 공진기에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결합, 삼중 안테나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높은 효율로 양자광원을 생성했다. 이어 상온에서 약 15㎚(머리카락 두께의 약 1만분의 일)의 공간분해능으로 양자광원을 검출할 수 있었다.

실제, 이렇게 만들어진 양자광원은 안테나 효과를 적용하지 않은 반도체 양자광원 대비 밝기가 4만배 강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양자정보통신 소자를 위한 광원이자 나노스케일에서 양자물질을 이해하는 도구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다양한 나노소재의 미약한 광신호를 고감도로 검출하는 데도 응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양자광원의 안정성과 품질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플라즈모닉 구조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물리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