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연세대, 저비용 고효율 생체 삽입형 투명전극 제작공정 개발

생쥐 대뇌피질에 삽입, 빛을 통한 신경 자극 및 측정 성공

[편집자주]

연구 개요 및 특징(연세대 유기준 교수 제공)© 뉴스1
연구 개요 및 특징(연세대 유기준 교수 제공)© 뉴스1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유기준 교수 연구팀이 뇌 신경을 빛으로 자극하고 동시에 뇌에서 나오는 파형을 기록할 수 있는 생체 삽입형 투명전극을 저비용·고효율로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존에는 투명한 그래핀이나 ITO, 그물이나 다공성 구조의 금속(금)을 생체 삽입형 소자의 전극 소재로 활용했다.

하지만, 고온 공정 및 추가적인 필름 위로의 전사 방식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했다.

또, 전도성 고분자(PEDOT)도 활용했지만 이 역시 물에 취약해 패턴 공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 패턴 공정 중 포토 공정 이후에 박막을 형성하는 리프트-오프 공정 기법을 도입해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을 고려한 단층 패턴 공정을 크게 단순화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도성 고분자 배열을 단순히 첨가제(EG)에 담그는 방식으로 코일처럼 복잡하게 배열된 전도성 고분자를 선형으로 변환, 전하가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해 전도성을 크게 높였다.

이를 통해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전도성 향상은 물론 노이즈 없는 투명성도 최대로 확보해 기존 전극으로는 확보할 수 없던 세포의 구조적 활동을 확인, 뇌조직 이미징 가림 현상을 해소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제작된 고분자 기반 투명전극을 실제 쥐 뇌 대뇌피질에 삽입, 빛으로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데 성공했다.

질환 모델 생쥐에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뇌 전기생리학적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투명전극의 성능을 확인한 것이다.

개발한 투명전극의 투명도는 최대 87%로 금속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전극의 투명도 최대 30% 대비 큰 차이를 보여준다.

이번 연구결과는 특정 파장의 빛을 신경세포에 전달해 표적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성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려는 광유전학의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에 11월28일 게재됐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