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미얀마 군사 쿠데타 1년…투자 기업들 대거 철수했다

탈출 기업과 잔류 기업 속사정

[편집자주]

미얀마의 만달레이에서 쿠데타를 규탄 시위대가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행진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미얀마의 만달레이에서 쿠데타를 규탄 시위대가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행진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지난해 2월 1일 미얀마에서 군사 쿠데타가 발생했고 떠난 기업도 남은 기업도 모두 나름의 속사정이 있다. 

2011년 군부개혁으로 미얀마에 투자자들이 몰려 들었지만 10년 만에 다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기업들은 철수와 잔류를 저울질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기업들은 인권이라는 같은 이유에서 철수와 잔류라는 서로 다른 결정을 내렸다. 

◇우드사이즈 2억 손실에도 떠나는 이유는 인권

28일 AFP통신에 따르면 호주 에너지업체 우드사이즈는 미얀마 철수를 발표했다. 1주일 전에도 대형 석유업체 프랑스 토탈에너지, 미국 셰브런이 미얀마의 안다만 해역 가스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토탈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우드사이즈 역시 "인권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철수의 부분적 배경이라며 2억달러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AFP에 따르면 우드사이즈는 미얀마에서 다수의 에너지 개발 및 시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휴먼라이츠워치에 따르면 미얀마 군부가 천연가스 프로젝트로 벌어 들이는 매출은 10억달러다.

지난해 노르웨이 텔레노르는 미얀마에서 주요 무선통신업체 중 한 곳으로 성장한 자회사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달 텔레노르는 미얀마의 한 디지털결제업체 지분을 팔았다. 브리티시아메리칸 토바코는 미얀마에서 군사쿠데타 이전 10만명을 넘게 고용했지만 지난 10월 철수의사를 표명했다. 프랑스 신재생에너지업체 볼타리아 역시 미얀마를 떠났다.

인권단체들은 지난해 2월 쿠데타에 따른 유혈진압으로 1500명 넘게 숨졌다며 외국 기업들이 군부와의 사업을 재검토할 것을 요구한다. 이번주 미국 정부는 미얀마 군부와 사업을 진행중인 전세계 기업들이 "회사 명성, 금융, 법적 위험에 심각하게 노출될 수 있는 행위에 관여할 리스크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유 기업, 보석 및 귀금속 업계, 부동산 개발프로젝트, 무기사업은 경계해야 한다고 투자자들은 경고했다고 AFP는 전했다.

◇프랑스 호텔 아코르가 남는 이유도 인권

일부 사업만 중단한 기업도 있다. 일본 자동차 토요타는 지난해 미얀마에 조립공장을 세울 계획이었지만 해당 프로젝트는 일시 중단됐다. 지난 10년 동안 유명 의류브랜드들이 미얀마 공장을 통해 옷을 공급했지만 이탈리아 베네통과 같은 업체들은 신규주문을 중단한 상태다. 프랑스 에너지대기업 EDF는 일본 마루베니와 콘소시엄을 구성해 수소전기댐을 건설하는 15억달러짜리 프로젝트도 일시 중단했다.

남아 있는 기업도 있다. 일본 스즈키는 지난해 쿠데타 직후 미얀마의 공장 2곳 가동을 중단했다가 거의 즉각적으로 가동을 재개했다. 프랑스 호텔그룹 아코르는 미얀마에 9개의 호텔을 운영 중인데 "현재로서 미얀마에 잔류하는 결정을 내렸고 호텔 인근 지역사회의 고용인 1000명을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코르는 "관광은 미얀마에 중요하다"며 "버마인을 세계와 연결해주는 마지막 링크중 하나로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미얀마 맥주 기린은 2개의 맥주공장을 운영하는 미얀마 군부와 사업관계를 중단하기 위해 수 개월째 협상중이다.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기린은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조정에 들어갔다. 덴마크 칼스버그는 미얀마에서 450명을 고용중으로 소비가 감소하며 생산도 줄였다고 밝혔지만, 언제 시장을 떠날지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미얀마 주재 한국대사관의 주선으로 현지 군부의 고위 관계자와 삼성, LG, 포스코 등 한국 기업들 사이 만남이 있었다. 철강업체 포스코의 자회사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FT에 이번 회의 참석을 확인하며 자사 사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였다고 밝혔다.
연관 키워드
로딩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