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유하기

신동빈·정용진의 '통큰 투자'…'유통 빅2' 5년간 57조 투입

'엔데믹 시대' 오프라인 투자…CJ그룹도 "내부 검토 중"
'헬스케어·모빌리티·콘텐츠' 非유통 신사업 투자도

[편집자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 뉴스1

'유통 맞수'인 롯데·신세계그룹이 향후 5년 동안 57조원 규모의 '통 큰 투자'에 나선다.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라는 윤석열 정부 국정철학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롯데는 37조원을, 신세계는 20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이어간다. 앤데믹 시대를 맞아 오프라인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비(非)유통 사업군인 헬스케어 등 신사업에도 투자를 집중한다. CJ그룹도 대규모 투자를 내부 검토 중이다.

◇'유통 빅2' 대규모 투자 키워드?…'오프라인'

유통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 핵심은 오프라인이다. 엔데믹 시대를 맞아 오프라인 시설 투자를 늘리고 고용 창출 효과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롯데지주가 발표한 3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금액의 4분의 1은 롯데쇼핑 오프라인 사업에 투입된다. 8조1000억원 규모의 투자금으로 지역 상권 발전 및 고용 창출에 앞장선다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롯데백화점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인천 송도 등에서 고용 유발 효과가 높은 대규모 복합몰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롯데는 수원·수지·광명·군산·은평 등 주요 거점 지역에 롯데몰을 운영하며 지역 상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 백화점에서는 핵심 지점인 본점·잠실점 등의 리뉴얼도 진행한다. 롯데마트는 1조원을 투입해 쇼핑 문화를 선도하는 특화 매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미래형 매장인 '제타플렉스'와 대형 할인점 '맥스', 와인 특화매장 '보틀벙커' 등이 그 예다.

신세계백화점도 오프라인 사업 확대에만 11조원을 쏟는다.

신규 출점과 기존 점 경쟁력 확대를 위해 3조9000억원을 투입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최근 경기점의 리뉴얼을 지속하고 있으며, 신세계 강남점도 면세점이 철수한 공간의 활용 방안을 고민 중이다. 또 2027년 수서역 환승센터에 들어서는 신세계백화점에도 투자비용이 들어간다.

이마트 역시 트레이더스 출점과 기존점 리뉴얼 등에 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시국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트레이더스의 영업이익은 7.5% 개선되며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신세계 프라퍼티도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스타필드 수원을 필두로 스타필드 창원과 스타필드 청라 등 신규 점포 출점을 위해 2조2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非유통' 신사업 투자도 활발

롯데·신세계는 비유통 사업군에도 수조원을 투입하며 신성장동력 확보에 나선다.

롯데는 올 초 "신규 고객과 신규 시장을 창출하는 데에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는 신동빈 회장의 주문의 일환으로 신사업 헬스·모빌리티 사업군에도 통 큰 베팅을 단행한다.

신사업 핵심은 '바이오'다. 롯데는 최근 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은 바이오 사업에 첫발을 내디뎠다. 바이오 의약품 CDMO 사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 공장을 인수하고 1조원 규모의 국내 공장 신설을 추진 중이다.

모빌리티 부문은 올해 실증 비행이 목표인 도심항공교통(UAM)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중심으로 투입한다. 롯데는 시설 투자를 통해 연간 충전기 생산량을 1만대 이상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롯데렌탈도 8조원 규모의 전기차 24만대를 도입해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에 힘을 쏟는다.

스타트업 투자에도 공을 들인다. 2026년까지 국내 스타트업 투자를 36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현재 롯데벤처스 엘캠프를 거친 152개 국내 스타트업들의 기업가치(5월 기준)는 1조6000억원에 달한다.

신세계도 헬스케어와 콘텐츠 등 신사업에 2조원가량을 투입한다.

이미 신세계는 지난해 말 이마트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스타트업 '모노랩스'에 투자를 단행하며 헬스케어 시장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 현재 이마트는 성수·죽전·용산점에 직영 매장을 입점시켰다.

핵심 계열사인 신세계푸드는 올 3월 정기주총에서 사업 목적에 콘텐츠 제작·캐릭터 상품 제조 등을 추가한 바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민간 주도 성장이란 기조에 따라 대기업들이 투자 보따리를 풀고 있다"며 "대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발표는 곧 고용 창출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로딩 아이콘